3/6

양날인 검과 외날인 도 둘을 비교해볼때 각자의 장단점이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역사적으로 이미 정립된 얘기가 많은데, 양날검의 경우 보다 다채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나 유지보수가 2배로 필요한데다 내구성이 좋게 만들기 위해서 어느 정도 좋은 재료와 기술이 필요하고, 외날의 경우 유지보수가 비교적 단순하고 칼등 쪽에서 내구성을 챙기기가 비교적 쉬워서 재료와 기술을 비교적 안 가리는 편이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보통 서양=양날검, 동양=외날검이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잘 들여다보면 서양에서도 일종의 막칼 같은 느낌으로 외날검이 자주 쓰였습니다. 펄션(Falchion), 메서(Messer) 등 비교적 막 쓰는 근접용 도검으로 자주 쓰인 검들이 대부분 외날이었으며, 주로 동유럽의 기마민족에게서 전파된 면도 있지만 기병도(Sabre) 종류에서도 주로 말을 타고 지나가며 보병을 벨 때의 충격으로부터 버티는 내구성과 손목의 각도 등을 고려하여 외날을 사용한 도검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런 특성은 도검류가 주무기에서 도태된 현대에서도 어느 정도 유효한 편이라, 근접전만을 순전히 상정한 경우 양날을 가진 대거(Dagger) 형태의 단검이 보다 자주 쓰이는 반면, 평상시의 유지관리나 내구성, 그 외에 생존상황에서의 도구로써의 목적 등까지도 염두한 경우에는 보통 외날 형태의 도검류를 자주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정글도나, 생존용 나이프 등이 이런 이유로 외날을 자주 사용합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외날 도검은 르네상스시기 휴대용 단검류로 쓰이기도 했던 두삭(Dussak)으로, 원래 근간 자체는 세이버나 메서 등의 외날도검의 훈련용으로 제작된 단순한 목검이지만, 이를 기반으로 아예 실제 도검이 제작되기도 하면서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제가 제일 좋아하는 형태는 도신과 손잡이를 모두 일체형으로 만드는 연습용 두삭에 기반한 도검 디자인으로, 손을 보호해주는 D가드 까지도 모두 일체형으로 제작된 약간 막 쓰는 칼 같은 단순한 디자인이면서도 어딘가 기능미적인 매력이 있는 디자인이 좋습니다.

スポンサーリンク

병참과의 총기봇さんになんでも質問しよう!

質問

スタンプ

利用できるスタンプはありません。

スポンサーリンク

質問する

過去に答えた質問

병참과의 총기봇 が選択中のトピックはこちら!

# 韓流大好き

# ゲーム

スポンサーリン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