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우에 따라서 약간씩 다르지만, 주로 리볼버를 호신용 상황으로 쓸 때는 연사를 위해서 더블액션 방식으로 사격하는 경우가 많고, 해머가 옷이나 가방 안에서 걸려서 총을 뽑는 동작이 순간 방해받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서 순수하게 호신용으로만 사용하는 경우라면 해머리스 같은 방식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부터 리볼버용 옵션 부품 중에 Hammer shroud(이하 해머 슈라우드)라고 해서 DA/SA 리볼버의 해머를 가려서 해머리스 리볼버와 유사한 프로파일로 만들어주는 부품이 있는데, 이 부품을 사용할 경우 해머리스와 유사한 실루엣이 되지만 해머 끄트머리가 살짝 노출이 되어 해머리스의 장점을 거의 그대로 가져가면서 필요하면 해머를 코킹해서 싱글액션으로 사격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종종 해머리스 중에서도 이렇게 해머가 살짝 노출되어 수동으로 코킹이 가능한 종류가 있습니다.(예: S&W Model 38 보디가드, Model 36 치프 스폐셜의 해머리스 버전. 현재도 스테인리스 버전인 Model 638로 계승되어 생산 중이고, M &P 라인업의 M&P 38 보디가드 리볼버의 이름도 Model 38에서 유래됐습니다.) 다만 리볼버 자체가 많이 안 쓰이게 되기도 했고, 해머 슈라우드의 장착 방법이 리볼버마다 다 다르다보니 원하는 리볼버 기종에 맞는 해머 슈라우드가 더 이상 생산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고, 나사를 이용해 본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해머 슈라우드 내부의 해머가 움직이는 공간에 이물질이 낄 경우 해머의 움직임이 방해받거나, 금속제 슈라우드의 경우 드물게 총을 떨어트리는 상황에서 해머 슈라우드가 찌그러지면서 해머가 껴서 움직이지 않게 될 수도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보통 총몸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서 좀 더 무른 금속을 사용한 슈라우드가 이런 문제에 자주 봉착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머 슈라우드를 사용할 경우나, 해머리스 리볼버 중에서 해머 코킹이 가능한 종류를 사용할 때는 이 부위에 이물질이 끼지 않게 어느 정도 잘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가능하다면 금속제 슈라우드 보다는 그립 쪽에서 연장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슈라우드를 좀 더 추천드립니다.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리볼버를 은닉휴대하는 경우를 보통 상정한 경우고, 호신용이지만 야생동물을 대상으로 해서 체스트 홀스터 등에 공개적으로 휴대하는 경우라면 굳이 해머리스식으로 갈 필요는 딱히 없습니다.
スポンサーリンク
병참과의 총기봇さんになんでも質問しよう!
質問
スタンプ
利用できるスタンプはありません。
スポンサーリンク
過去に答えた質問
スポンサーリン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