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혹시 질문이 제 소재가 실제 윈도우틀을 대고 그리셨다는 걸 지적하고 싶으신가요 (그러지 않았습니다) 아니면 인터넷 창이라는 설정을 뜻하는 걸까요? 소재는 트레이싱 없이 순수 창작 + 상업적 이용 가능 로열티 프리 아이콘(픽토그램)으로 만들었습니다! 혹시라도 의심스러우시다면 원본 파일을 올려 드릴 수 있습니다. 크기나 각진 형태 등의 틀 또한 본인이 지정하였기에 기존에 존재하는 UI를 비교해보시면 맞지 않을 것 입니다! 제 작업물을 실제 UI디자인을 판매 하는 것이 아닌 일러스트 및 만화등을 위한 창작 소재 목적이며 (인터페이스가 불가능한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제 창작 소재는 프로그램 소스코드가 아닌 일반 이미지 파일입니다). 그리고 제 작품에서 기존의 유사한 인터페이스 라고 느낄실만한 윈도우 창 UI는 저작권 행사가 불가능 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기능적으로 일정한 형태로밖에 표현을 하지 못하는 부분에는 저작권을 인정하지 않는것이 현행법이라고 알고있기 때문입니다! 혹시 UI를 파는것 자체를 문제를 삼으신거라면 (제 작품은 UI를 위한 작품이 아닙니다) 실제로 UI키트는 인터넷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이며 그 특성상 디자인이나 구성 요소가 비슷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window라는 소재를 (팝업창을 소재로 만들거야!!) 가져온 것은 맞으나 그 외의 디자인 적인 것(크기,위치, 색상)은 제 창작입니다. (Open, seve 같은 특정 문구를 사용해서 안되는 경우는...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찾아보니 소스코드가 동일하면 명백한 저작권 침해이지만 단순히 UI 화면이 비슷하여도,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면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고 합니다. 또한 앱/PC의 독특한 기능을 침해한 경우 저작권 침해가 될 수도 있으나 앱과 UI그리고 이미지소스는 저작물의 분류가 다르며 (앱은 프로그램 저작물, UI는 편집 저작물에 가깝습니다) 제 소재는 제공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제공하는 기능이 같을 경우 저작권 침해가 될 수도 있다고 -항상 그렇지는 않다고 합니다- 합니다) 물론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모든것이 괜찮은 것은 아니지만. 제가 해당 업계를 침범한 것이 아니기에 (제 저작물은 다시말하지만... 창작소재 보조용입니다!) 이 사항에도 업계가 어떻게 반응 할 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제가 알고있는 지식이 틀렸다면 디엠으로 직접 알려주시기 바라며 혹여나 해당 문제가 생기더라도 원본을 주장하는 회사(누가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가 저에게 문제를 제기할 시 그쪽과 해결하겠습니다.
스폰서 링크
김독 님 뭐든지 질문하자!
질문
스탬프
유효한 스탬프는 없습니다.
스폰서 링크
스폰서 링크